한음의 방


「난득호도(難得糊塗)」
2023-01-15 09:56:53
한음
조회수   70

「난득호도(難得糊塗)」

 

 

 

 한국인들의 가장 전통적인 가훈(家訓)이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이라면 중국인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가훈이 난득호도(難得糊塗) 라는데 그 뜻을 풀이 하면 “바보가 되기란 참 어려운 일이다"”, 즉, “똑똑한 사람이 똑똑함을 감추고 바보처럼 사는 건 참 어렵다” 라는 뜻이다.

 

 ‘난득호도’ 는 청나라 문학가 중 8대 괴인으로 알려진 ‘정판교(鄭板橋)’ 가 처음 사용한 말인데 “바보가 바보처럼 살면 그냥 바보이지만 똑똑한 사람이 때로는 자기를 낮추고, 똑똑함을 감추고, 바보처럼 처신하는 것이 진짜 똑똑이다” 라는 것입니다.

 

 “자신의 날카로운 빛을 감추고 겸손한 태도를 보인다” 는 것이 어쩌면 동양 철학의 핵심이다. 

 

 ‘자신’ 또는 주변의 능력을 과신해 가볍게 행동하거나 그것으로 사익을 취하려다간 험한 일을 겪을 수도 있으니 스스로 분수를 알고 자족하는 삶을 사는 것이 난세의 슬기로운 처신이라는 의미이다. 

 

 정말로 똑똑한 사람은 자신을 낮추고 상대방을 존중하며, 때론 침묵의 지혜를 선호하는 예의 바른 사람이다.

 

 

 

댓글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첨부 파일
43 「 갑자기 이루어 지는 일은 없다」 한음 2024-04-07 66
42 「 만드는 정답」 한음 2023-06-10 78
41 「품격」 한음 2023-04-21 73
40 「강철왕 카네기의 성공 비결」 한음 2023-03-22 72
39 「화 해」 한음 2023-03-22 80
38 「‘정(正)’과 ‘중(中)’의 분별」 한음 2023-01-19 71
37 「난득호도(難得糊塗)」 한음 2023-01-15 70
36 「창승부기 미치천리(蒼蠅附驥 尾致千里) 」 한음 2022-11-20 95
35 「우직지계(迂直之計)」 한음 2022-11-20 72
34 「도공(陶工) 우명옥」 한음 2022-11-08 67
33 「숙맥(菽麥)의 란(亂)」 한음 2022-10-20 74
32 「모소 대나무」 한음 2022-09-01 78
31 「육응기상 (六應棄想)」 한음 2022-08-14 292
30 「비행기 일등석을 타는 사람들은 ...」 한음 2022-08-14 88
29 「득도다조得道多助」 한음 2022-08-14 97
1 2 3